지둥이와 재둥이의 일상기록

올해의 성취) 2024년 1회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본문

p l a n

올해의 성취) 2024년 1회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J둥이 2024. 10. 11. 19:34

지둥이의 올해 성취

오늘은 정보처리기사에 도전한 이야기에 대해서 대강 써보려고 한다.
 
올해 3월  공공 ooo청 전자행정시스템 구축사업에 들어가게 되면서 동시에 정처기 공부 병행하여 합격의 결과를 이루었다.

  • 4월에 진행한 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에 합격..! 

 
정보처리기사 만만한 자격증시험이 아니다.
비전공자에겐 난이도가 어려운편이므로  첫 시험에 합격하기는 어려운 시험이다.
당해 1회차 실기시험은 비교적 난이도가 쉽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1회차에 꼭 따리라는 목표를 가지고 갔다. 
 

무조건 난 1회차에 합격할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엔 프로그램언어 활용 파트 정말 열심히 준비해야한다. 현직자와 전공자에게는 어려운문제가 아닐 지 몰라도
비전공자가 개발 취업을 목표로하는 이에게는 많이 어려울것이다.
 
비전공자에 1회차 실기시험을 노린다면, 3개월정도 공부기간을 계획하여 인강을 들으며 이론과 문제풀이방법을 꾸준히 학습해야한다.
시험 1주일 전 벼락치기로 합격하기? 이론만 달달달 외워서 공부하는건 프로그램언어활용 파트가 이미 익숙한 사람, 개발자 현직+전공자+공부 좀 해본 스마트한 사람 ... ㅎㅎㅠㅠ
 
 
비전공자 직장인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도전하기! 실패해도 꾸준히 합격을 노려보자.
결국 쉽지 않은 길이지만 결국 해냈다. 시간을 충분히 갖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격자 공부방법

필기는 2년전에 학교 시험공부하듯이 스카가서 인강듣고 요약하고 요약본으로 시험봤었던 경험이 있어서, 유효기간이 지난 시점에 한번 더 필기를 봤는데 요약본이 워낙 인터넷검색만해도 잘나와있어서 요약본 보면서 1주 정도 공부해서 70점대로 합격
cbt시험으로 봤는데 난이도가 어렵지않았다.
 
실기공부했던 방법에 대해서만 작성해보았다.
 

"N잡 사이트 흥달쌤 정보처리기사 실기" 인강 듣기 강.추!

  • 필기인강 : 수제비 (두음법칙이 굉장히 도움이 된다. 1년이 지나도 기억이 남 ㅎㅎ)
  • 실기인강 : 흥달쌤(강의 시작 전 이전 강의내용을 간략히 정리해주는게 엄청 도움이되고, 흥달쌤 딕션이 아주 좋다. 재밌게 설명하시고 강의가 지루하지않다. 이게 가장 큰 장점!)

준비기간

  • 2~3개월(2월부터 4월)

 

한달차

회사 점심시간에 밥먹고와서 이론말고 문제풀이 강의 1개씩 들어줌
퇴근하고 강의 1개~2개씩 꾸준히 들음(강의평균 시간 40분) 약 2시간정도 
한달동안 인강 1회독을 목표로! 
 

두달차

3월부터 하루 2시간씩 인강 3개정도는 꾸준히 들어주었다. 퇴근하고 카페를 가거나 스터디카페를 가서
집중안되는 날에는 환경을 변화해주었다. 

  • 3월부터는 2회독 할 차레 + 문제풀이를 반복하였다. 회사에서 점심시간마다 인강 1개씩 들어주고 
  • 퇴근하고나서 인강 1개 더 듣고 문제풀이 3~5개씩은 꾸준히 반복해주었다. 

세달차

두달 차 2회독을 다 못한터라 2회독 진행하면서, 문제풀이 강의를 반복하여 들어주었다.
결국 프로그래밍언어활용파트 비중이 높기때문에,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반복하여 들어주었다.
요약 인강을 업로드 해주셔서 요약 + 문제풀이 강의만 계속 반복했다. 요약인강도 꾀 되기때문에 이론강의를 다 못들었다면
요약강의를 듣는것을 추천한다.
 
 

시험장

프로그래밍 언어활용파트에서 중요한 건 문제가 길다고 당황하지 않기다! 배운것을 토대로 천천히 풀어나가는 것, 시험지가 지저분해져도 천천히 인강에서 쌤이 가르쳐주신 내용을 기억하면서 순차적으로 꼬이지 않도록 풀어나갔다.
20문제 중 8~9문제가 프로그래밍 언어활용 파트이다. 코드 실행순서 문제가 나왔는데.. 분명 쉬운건데.. 헷갈리고 있었다.ㅠㅠ(결국 틀림)
sql 쿼리 작성과 출력값 문제는 난이도가 비교적 쉽게 나왔다. 꼭 맞추고 들어가야하는 부분이다. 
 
이론 문제는 응집도와 결합도, 디자인패턴,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메모리 기법, 네트워크 용어, 운영체제 페이지기법,  보안파트 공격기법 등 암기했던 내용들이 있는지 시험지를 받는 즉시 문제와 연관된 용어를 써내려갔다. 


 

직장인도 충분히 시간을 갖고 공부하면 취득 할 수 있다!

 

합격 점수

67
(큐넷 사이트 정비로 인하여 나중에 첨부)
 
 
가채점 결과가 간당간당해서 너무 불안했다.. 어라? 결과가 생각보다 좋았다. 
커트라인이라도 좋다는 생각으로 시험일 이후 간절히 기도했었는데 ㅋㅋ 간절함이 먹혔던 건가
좀 잊고 있는게 정신건강에 좋다.
 


자격층 취득 계기

공공기관 사업관리를 하면서 정처기 필기정도는 따줘야지!하며 시작된 공부가 개발 직무전환으로 이어질지는 꿈에도 몰랐다.
개발공부.. 혼자 공부하다가 막히니까 오기가 생겨서 퇴사하고 본격 개발공부하게 된 계기였던 것이 오늘날까지 오게되었다. 
 
취업하면 필요 없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경험 상 공공사업 수주 받는 SI회사가면 필수인 것 같다. 
회사에서 직접적으로 요구하기도한다. 이게 인사평가에도 반영이 되어서 나중에 귀찮아지지 않게 빨리 마음먹고 공부했다.
입사해서 일찍 따기를 잘한 것 같다.